본문 바로가기
한국무용

1980년, 1990년, 2000년대 창작 한국무용의 작품과 특징에 대해서

by 정보알리미7 2024. 1. 28.
반응형

전편에서 다룬 전반기 시대별 창작 한국무용에 이어 이번에 다룰 시대는 1980년대부터 1990년, 2000년대까지입니다. 한국의 전통무용에 현대적인 감각과 창의성을 접목하여 새롭게 창작된 춤인 창작 한국무용은 우리 무용사에 매우 중요한 갈래입니다. 따라서 한국의 무용가들이 전통무용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노력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창작에 도전한 창작무용의 후반기 시대별 특징과 작품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0명 남짓의 한국무용수들이 현대화된 흰색 한복의상을 입고 팔을 위로 뻗으며 아름답게 창작무를 추는 모습
창작 한국무용

1980년대 창작 한국무용

1980년대에는 드디어 한국무용이 세계무대에 진출하기 시작했습니다. 무용가들은 여러 해외공연을 통해 한국무용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알리며, 한국무용의 위상을 높였습니다. 이 시기의 창작 한국무용은 격식 있는 전통무용의 기본 요소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현대적인 자유로운 표현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한국무용의 세계화에 기여했습니다.

1980년대 창작 한국무용의 특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통무용의 기본 요소를 바탕으로 함

1980년대 창작 한국무용은 전통무용의 기본 요소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현대적인 표현과 기술을 도입하여 한국적인 정서와 미의식을 새롭게 표현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이 시기의 창작 한국무용은 전통무용의 기본 동작과 춤사위를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인 음악과 무대장치를 도입하여 새로운 감각을 선보였습니다.

현대적인 표현과 기술의 적극적인 도입

1980년대 창작 한국무용은 현대적인 표현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한국무용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 시기의 창작 한국무용은 서양의 현대무용과 발레의 표현과 기술을 도입하여 한국무용의 표현력을 확장했습니다. 또한, 영상과 조명 등의 무대기술을 도입하여 한국무용의 무대미학을 발전시켰습니다.

한국적인 정서와 미의식의 표현

1980년대 창작 한국무용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으로 한국적인 정서와 미의식을 표현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이 시기의 창작 한국무용은 한국의 전통 설화와 고전소설을 소재로 삼아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했습니다. 또한, 한국의 전통 음악과 미술을 활용하여 한국적인 미의식을 표현했습니다.

1990년대 창작 한국무용

1990년대에는 한국무용이 더욱 대중화되기 시작했습니다. 무용가들은 다양한 장르와 결합하여 창작에 도전하며, 한국무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했습니다. 이 시기의 창작 한국무용은 전통무용의 기본 요소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현대적인 표현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한국무용의 대중화에 기여했습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창작 한국무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있습니다.

'무용극 판소리 춘향' (1990년, 김영랑) 판소리와 무용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무용극입니다. 이 작품은 판소리의 흥과 감동을 무용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한국무용의 대중화에 기여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살풀이 무용극' (1991년, 김매자)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무용인 살풀이를 바탕으로 한 무용극입니다. 이 작품은 살풀이의 한국적인 정서를 무용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한국무용의 대중화에 기여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무용극 몽유도원도' (1992년, 이매방)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회화인 몽유도원도를 바탕으로 한 무용극입니다. 이 작품은 전통회화의 아름다움과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한 작품으로, 한국무용의 대중화를 이끌었습니다.

1990년대 창작 한국무용의 특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양한 장르와의 결합

1990년대 창작 한국무용은 다양한 장르와의 결합을 통해 한국무용의 대중화를 이끌었습니다. 이 시기의 창작 한국무용은 판소리, 민요, 음악 등 다양한 장르와 결합하여 한국적인 정서와 미의식을 표현했습니다. 또한, 서양의 현대무용과 발레의 표현과 기술을 도입하여 한국무용의 표현력을 확장했습니다.

한국적인 정서와 미의식의 표현

1990년대 창작 한국무용은 한국의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으로 한국적인 정서와 미의식을 표현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이 시기의 창작 한국무용은 한국의 전통 설화와 고전소설을 소재로 삼아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했습니다. 또한, 한국의 전통 음악과 미술을 활용하여 한국적인 미의식을 표현했습니다.

대중성의 추구

1990년대 창작 한국무용은 대중성을 추구하는 데 주력했습니다. 이 시기의 창작 한국무용은 현대적인 감각과 형식을 도입하여 대중의 눈높이에 맞는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또한, 대중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노력했습니다. 1990년대 창작 한국무용은 한국무용의 대중화에 기여했으며, 한국무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 시기의 창작 한국무용은 한국무용이 더욱 다양한 장르와 결합하여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2000년대 창작 한국무용

2000년대에는 한국무용이 더욱 실험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무용가들은 첨단 기술과 미디어를 활용하여 창작에 도전하며, 한국무용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창작 한국무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있습니다.

'비상' (2000년, 김영랑) 첨단 영상 기술을 활용한 무용극입니다. 이 작품은 현대인의 삶과 꿈을 무용과 영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한국무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 (2001년, 안숙선) 한국의 전통음악과 현대무용을 결합한 무용극입니다. 이 작품은 한국의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무용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한국무용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디지털 무용극 몽유도원도' (2004년, 이매방): 전통회화인 몽유도원도를 바탕으로 한 컴퓨터 그래픽과 무용을 결합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전통회화의 아름다움과 한국적인 정서를 표현한 작품으로, 한국무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 이처럼, 시대별 창작 한국무용은 한국무용의 발전과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창작 한국무용은 전통무용의 정수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현대적인 표현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한국무용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창작 한국무용이 더욱 다양하고 발전하여 한국무용의 위상을 높이고, 세계무대에 한국무용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합니다.

이상으로 한국무용에 있어 중요하게 자리매김한 창작 한국무용의 1980년, 1990년, 2000년대 시대별 특징과 작품들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